1.3 VPC 설정과 Subnet ↔️ Routing Table ↔️ Internet Gateway
Last updated
Last updated
VPC - Virtual Private Cloud
단어 뜻을 그대로 보자면 가상의 개인 클라우드
AWS개념으로 보자면 하나의 Region에 여러 Availability Zone(AZ)이 있고, 각각의 Availability Zone(AZ)에 데이터센터가 존재함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는 여러개의 서버랙이 있고, 각각의 서버랙에 여러대의 서버가 있다
하지만 여러개의 EC2를 사용한다고 했을 때, 같은 서버랙에 있는 서버를 발급받는다는 보장이 없음
위와같이 각각 다른 서버랙에서 서버를 배정 받았을 때, VPC로 묶어서 마치 하나의 서버랙에서 서버를 관리하는 것처럼 하는 것이 VPC의 역할
Subnet
AWS에서 EC2와 같은 리소스들은 subnet을 할당함
Subnet에는 Public Subnet과 Private Subnet이 있음
Public Subnet은 Public IP와 유사한 느낌으로 외부와 통신이 가능
Private Subnet은 반대로 외부와 통신이 불가능함
따라서 Public IP를 assign한다고 해도 어차피 외부와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낭비
backend server나 database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직접 접근할 필요가 없는 리소스들을 private subnet에 두고, 클라이언트가 직접 접근하는 프론트엔드 리소스는 public subnet에 배정
Routing Table
요청이 들어오면 어떤 subnet으로 보낼 지 정해둔 규칙
Internet Gateway
Public subnet은 routing table을 통해 Internet Gateway와 연결됨
Internet Gateway를 통해서 외부와 통신이 가능함